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HOME
LOGIN
PORTAL
발전기금
LANGUAGE
ENGLISH
CHINESE
통합검색
검색어 입력
검색
대학정보
대학정보
대학소개
이념
역사
연혁
교육목표/인재상
개교 50주년
아주비전 5.0
홍보영상
대학상징
상징
UI
50주년 엠블럼/슬로건
전용서체
캐릭터
UI 다운로드
대학현황
대학기구
규정
통계
정보공개
총장실
인사말
약력
연설문
총장레터
동정
역대총장
캠퍼스 안내
캠퍼스맵
오시는길
교내전화번호
학교법인
이사장
연혁/조직
이사회
입학
입학
대학
학부 입학(입학처)↗
외국인 입학↗
대학원
대학원
진행중인 모집요강
교육
교육
대학
대학
대학원
대학원
부설교육
부설교육
열린교육
Open Source Education↗
AUT
AUT Introduction
AUT Activities
연구/산학
연구/산학
연구현황
주요 연구성과
연구자검색↗
연구뉴스레터
관련사이트
산학협력단/연구정보처↗
LINC3.0 사업단↗
창업지원단↗
4단계 BK21사업
혁신융합단↗
연구기관↗
연구윤리
기관생명윤리위원회
세미나/포럼
학사지원
학사지원
학사일정
등록/장학
등록금
장학생 선발
교내장학
교외장학
학자금대출
아주동행 긴급장학
학사정보
교육과정
수강신청
수업
학적
비교과프로그램
학사자료실
다시듣고 싶은 명강의
함께하고 싶은 나의 교수님
학사Q&A
요람/규정집
요람
규정집
대학생활
대학생활
학생지원
종합지원센터
커리어
장애학생지원실↗
보건진료소
학생상담
성평등상담소↗
인권상담소↗
병무
시설이용
생활관
교내식당
체육시설
편의시설
학교버스
중앙도서관↗
무선인터넷 안내
증명서 발급
증명서신청/발급 안내
인터넷우편발송 신청/조회
인터넷증명서 즉시발급
교육비납입증명서 출력
학생문화
학생기구
학보사↗
영자신문사↗
교육방송국↗
스마트캠퍼스
소개
학생증
아주광장
아주광장
공지사항
일반공지
장학공지
캘린더
미디어센터
Ajou News
학생 활동·수상 소식
교내소식
아주인칼럼
아주인사이트/웹진
커뮤니티
자유게시판
자료실
학교에 바라는 글
아주교차로
개인정보 제3자 제공
청탁금지법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학교 대응 안내
공지사항 및 안내사항
교내 확진자 발생 안내
검색 열기
통합검색
검색어 입력
검색
모바일 메뉴 열기
HOME
LOGIN
PORTAL
발전기금
대학정보
대학소개
이념
역사
연혁
교육목표/인재상
개교 50주년
아주비전 5.0
홍보영상
대학상징
상징
UI
50주년 엠블럼/슬로건
전용서체
캐릭터
UI 다운로드
대학현황
대학기구
규정
통계
정보공개
총장실
인사말
약력
연설문
총장레터
동정
역대총장
캠퍼스 안내
캠퍼스맵
오시는길
교내전화번호
학교법인
이사장
연혁/조직
이사회
입학
대학
학부 입학(입학처)↗
외국인 입학↗
대학원
대학원
진행중인 모집요강
교육
대학
대학
대학원
대학원
부설교육
부설교육
열린교육
Open Source Education↗
AUT
AUT Introduction
AUT Activities
연구/산학
연구현황
주요 연구성과
연구자검색↗
연구뉴스레터
관련사이트
산학협력단/연구정보처↗
LINC3.0 사업단↗
창업지원단↗
4단계 BK21사업
혁신융합단↗
연구기관↗
연구윤리
기관생명윤리위원회
세미나/포럼
학사지원
학사일정
등록/장학
등록금
장학생 선발
교내장학
교외장학
학자금대출
아주동행 긴급장학
학사정보
교육과정
수강신청
수업
학적
비교과프로그램
학사자료실
다시듣고 싶은 명강의
함께하고 싶은 나의 교수님
학사Q&A
요람/규정집
요람
규정집
대학생활
학생지원
종합지원센터
커리어
장애학생지원실↗
보건진료소
학생상담
성평등상담소↗
인권상담소↗
병무
시설이용
생활관
교내식당
체육시설
편의시설
학교버스
중앙도서관↗
무선인터넷 안내
증명서 발급
증명서신청/발급 안내
인터넷우편발송 신청/조회
인터넷증명서 즉시발급
교육비납입증명서 출력
학생문화
학생기구
학보사↗
영자신문사↗
교육방송국↗
스마트캠퍼스
소개
학생증
아주광장
공지사항
일반공지
장학공지
캘린더
미디어센터
Ajou News
학생 활동·수상 소식
교내소식
아주인칼럼
아주인사이트/웹진
커뮤니티
자유게시판
자료실
학교에 바라는 글
아주교차로
개인정보 제3자 제공
청탁금지법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학교 대응 안내
공지사항 및 안내사항
교내 확진자 발생 안내
모바일 메뉴 닫기
KOREAN
ENGLISH
CHINESE
아주광장
HOME
아주광장
대학정보
입학
교육
연구/산학
학사지원
대학생활
아주광장
미디어센터
공지사항
캘린더
미디어센터
커뮤니티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학교 대응 안내
아주인칼럼
Ajou News
학생 활동·수상 소식
교내소식
아주인칼럼
아주인사이트/웹진
아주인칼럼
Total
1960건
,
53
/
392
게시글 검색
검색분류선택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검색
1700
[기고] 2023년 공공부문 클라우드 활용 전망과 이슈
위치 확인
[윤대균, 소프트웨어학과 교수] 이젠 대부분의 기업이 내/외부 업무에 클라우드를 활용하고 있다. 특히 상용 퍼블릭 클라우드의 활용이 보편화되고 있다. 매년 기업의 클라우드 활용 현황을 조사하여 발표하는 플렉세라(Flexera)의 2022년 보고서에 의하면 대상 조사기업의 98%가 상용 퍼블릭 클라우드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 의존하는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사실상 모든 기업이 상용 클라우드를 활용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클라우드 활용 확대는 기업뿐만 아니라 공공부문에서도 두드러지고 있다. 가트너는 2023년 전 세계 퍼블릭 클라우드 시장 규모가 841조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2 국내의 경우 퍼블릭 클라우드 시장에 대해 별도로 언급하지 않았지만 전체 퍼블릭 클라우드 지출액이 2023년에는 6조 4,700억 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이에 국내 퍼블릭 클라우드 시장에서도 두 자릿수 이상의 성장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우리나라는 클라우드컴퓨팅 발전 및 이용자 보호에 관한 법률(약칭: 클라우드컴퓨팅법)이 2015년 제정돼 클라우드 산업의 활성화와 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제도적 기반을 구축하는 한편, 3차에 걸친 클라우드 기본계획 수립 및 시행을 통해 국가 클라우드 전면 전환을 위한 정책을 추진 중이다. (하략) https://www.ciokorea.com/news/270831
1699
작성자
홍보실
작성일
2023-01-02
3171
동영상
동영상
윤대균교수.jpg
E-House 301동 기숙사식당
02-3277-5910
1698
[기고] '허준이 필즈상' 못다전한 이야기
위치 확인
[박형주, 수학과 석좌교수] 2022년에 일어난 가장 큰 사건 중에 개인적으로 가장 감격적이었던 것은 허준이 교수의 필즈 메달 수상 소식이었다. 올해 여름을 필즈상 수상 소식이 뜨겁게 달궜지만, 사실 노벨상에 비하면 필즈상은 모르는 사람들이 훨씬 많다. 한해를 정리하는 이 시점에 필즈상에 얽힌 몇 가지 비하인드 스토리를 적으며 국내 필즈상 수상자가 또 나오기를 기대해본다. 수학 분야의 큰 성취에 수여하는 상 중에 필즈 메달이 가장 많이 알려졌지만, 상금만 놓고 보면 약 10억 원 상금의 아벨상과는 비교가 안 되게 적다. 허준이 교수는 1억 3천만 원 상금의 뉴호라이즌스 상과 3억 원 상금의 호암과학상을 이미 받았으니, 상금의 규모로 이 상의 가치를 판단하는 건 무용하다. ● 필즈상에 버금가는 가우스 상, 아바커스 메달, 천 메달, 릴리바티 상 막연하게 상식적인 정도로만 알고 있던 필즈상의 여러 측면을 알게 된 건 몇 가지 개인적인 계기를 통해서다. 필즈상의 시상식인 세계수학자대회 개막식을 2014년에 한국에서 준비하는 역할인 조직위원장을 맡으면서 배운 게 많았고, 2015년부터 국제수학연맹(IMU, International Mathematical Union)의 11인 집행위원회에 참여하면서 필즈상 심사위원회 구성 등에 대해 알게 된 것도 많다. (하략) https://www.dongascience.com/news.php?idx=57791
1697
작성자
홍보실
작성일
2023-01-02
2962
동영상
동영상
박형주 총장.gif
E-House 301동 기숙사식당
02-3277-5910
1696
[칼럼] ‘혈맹’이라는 자산을 활용한 보훈의 외교적 역할 강화
위치 확인
[이국종, 아주대병원 외상외과 교수] 런던의 병원에서 근무할 당시 6·25전쟁 참전용사를 치료한 적이 있다. 노병은 생명이 위독한 상태에서도 내 명찰을 보고는 내가 한국인이라는 것을 금방 알아보았다. 그는 대한민국이 잘 발전하여 보람이 크다고 했고, 난 영국군의 희생을 바탕으로 내가 지금 런던에서 연수를 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어 감사하다고 했다. 퇴원 전 노병은 주한 미군과 한국군에게 주는 영상 메시지를 남겨 주었고, 난 귀국 후 한국과 미국의 젊은 군인들에게 전달해주었다. 대한민국은 이렇듯 영화의 한 장면에서나 볼 수 있는 숭고한 역사를 가진 나라다. 많은 피를 흘린 6·25전쟁을 겪으며 얻어진 이런 신화와도 같은 귀한 자산을 후대에 잘 전달하는 것은 보훈의 역할이다. 2002년 한·일월드컵 4강전에서 한국과 터키의 경기는 외교에서도 가장 중요한 기본은 결국 상대국 국민의 마음을 얻는 것이라는 사실을 보여준다. 치열한 마지막 순위결정전에서 양측의 선수와 관중들은 서로를 '형제국'으로 부르며 함께 응원했다. 대한민국이 6·25전쟁을 통해서 유일하게 얻은 것이 있다면, 우리의 자유와 민주주의를 지켜주기 위해 큰 희생을 치렀던 '진정한 우방'일 것이다. (하략) https://www.asiatoday.co.kr/view.php?key=20221228010012723
1695
작성자
홍보실
작성일
2022-12-29
3328
동영상
동영상
이국종교수.jpg
E-House 301동 기숙사식당
02-3277-5910
1694
[칼럼] 나이 0살로 되돌리기
위치 확인
[김홍표, 약학대학 교수] 태어나는 순간 우리는 너나없이 0살이었다. 예외는 없다. 하지만 곰곰이 생각해보면 생물학적으로 0살을 정의하기란 그리 쉽지 않다. 합쳐져 곧 수정란이 될 난자와 정자가 부모만큼 ‘낫살’깨나 먹었기 때문이다. 아무리 구중심처에 고이 숨겨져 있다 해도 세월의 더께를 피할 수는 없는 일이다. 사춘기에 약 30만개이던 난자는 37세가 되면 2만5000개로 줄어든다. 폐경기인 약 51세가 되면 그 수는 1000개 밑으로 떨어진다. 슬픈 얘기지만 주인이 살아있는 동안 자신의 기능을 멈추는 거의 유일한 인체 기관이 있다면 그것은 난소다. 폐경기도 불현듯 찾아오지는 않는다. 30대 중반이 넘으면 난자에는 비정상 염색체, 미토콘드리아 돌연변이 유전체가 늘어난다. 여성에 비해 늦긴 하지만 남성도 40줄에 들어서면 정자의 운동능력과 수가 현저히 줄어든다. 이렇게 다치고 늙은 두 세포가 만나 0살이 되는 마법은 어떻게 일어나는 것일까? 그것은 수단껏 생물학적 나이를 낮추어 ‘최초’의 상태로 되돌리는 일이다. 그래야 종으로서 인간 혹은 한 생명체가 오롯이 유지될 수 있다. 심지어 단세포인 세균도 시종 젊어져야 한다. 이들은 주로 분열하는 동안 손상된 유전자나 단백질을 한쪽 세포에 몰아주는 방식으로 회춘한다. 인간에게는 가짓수로 200종이 넘는 세포가 있고 그 수는 얼추 40조에 이른다. 조혈모세포나 끊임없이 피부를 재생하는 줄기세포가 있지만 세포 대부분은 고유한 자신만의 역할을 그저 수행할 뿐이다. 신경세포, 간세포, 생식세포, 다 마찬가지다. 이들은 하나의 수정란에서 비롯한 자손 세포다. 개별 세포가 물려받은 유전체 서열이 다르지 않다는 뜻이다. 인간은 이들에게 어떻게 개체성을 부여할까? 생물학자들은 유전체에 후성 유전학적 깃발을 꽂음으로 이런 일이 벌어진다고 생각한다. 간세포 유전체에 꽂힌 깃발은 신경세포의 그것과 다르다. 그렇게 각각의 세포가 구분된다. 우리는 이들 세포가 분화했다고 일컫는다. 분화된 세포 연합체인 인간은 비로소 숨 쉬고 일하고 자식을 키운다. (하략) https://www.khan.co.kr/opinion/column/article/202212290300015
1693
작성자
홍보실
작성일
2022-12-29
3164
동영상
동영상
김홍표교수.jpg
E-House 301동 기숙사식당
02-3277-5910
1692
[칼럼] 생존 불안감 클수록 막말 급증 "솔직한 사람이네" 미화는 금물
위치 확인
[김경일, 심리학과 교수] 우리 사회와 조직에서 막말에 관한 이슈들이 도처에서 터져나오고 있다. 기업에서도 리더와 폴로어 어느 쪽이든 이런 말의 피해자가 되는 경우가 흔하게 관찰된다. 그런데 이런 막말은 왜 자꾸 증가하는 것일까? 그리고 그 막말의 폐해는 어느 정도일까? 그리고 이를 막아내려면 어떤 조치가 필요할까? 심리학자들은 이러한 막말의 근본에는 혐오가 존재한다고 한목소리로 이야기한다. 그런데 이 혐오는 진화적으로 생존에 필요한 반응이다. 더러운 오물 혹은 동물의 썩은 사체를 보면 혐오감을 즉각적으로 느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먹고 섭취하는 생존에 극히 위험한 행동을 할 수 있으니 말이다. 그래서 이러한 혐오 표현이나 막말이 발생하는 데에는 생존 자체에 위협감을 느끼기 때문이며 이성적이고 논리적인 반응보다 더 빠르고 강력하다. 흥미로운 점은 신속하고 즉각적인 반응을 강조하는 사회와 조직 내에서 생존과 관련된 불안 요소가 강해지면 막말은 급증하는 경향이 있다. 그런데 여기에 불을 지르는 요인이 하나 더 있다. 바로, 이런 표현을 하는 사람들이 솔직한 사람이라고 평가받을 때다. 심리학자인 길라드 펠드만 홍콩대 교수에 의하면 혐오적인 막말을 하는 사람이 예의 바르게 말하는 사람보다 더 솔직하다는 평가를 받는 현상이 분명하게 관찰된다. 그런데 사람들이 공개적인 상황에서 다소 위험이 뒤따르는 행동을 과감하게 한다는 것은 사전에 그 행동이 강화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를 조합하면 다음과 같은 추론이 가능해진다. 막말을 하는 사람은 과거의 유사한 경우에 솔직하거나 심지어 진정성 있는 사람으로 누군가로부터 평가받는 강화가 있었다는 뜻이 된다. 따라서 이들을 무심코 솔직한 사람으로 미화하면서 발언에 진정성을 부여하는 일은 있어서는 안 된다. (하략) https://www.mk.co.kr/news/business/10585357
1691
작성자
홍보실
작성일
2022-12-29
3227
동영상
동영상
김경일교수.jpg
E-House 301동 기숙사식당
02-3277-5910
첫 페이지로 이동하기
이전 페이지로 이동하기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다음 페이지로 이동하기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하기